Records rather than Memories

spec in close 본문

IT/Game QA

spec in close

Downer 2019. 12. 3. 17:15

spec이란 specification의 줄임말로서 재료, 제품, 디자인, 서비스 등이 만족시켜야 하는 일련의 문서화된 요구사항이다.

즉, 기획서에 적혀있는 요구사항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그렇다면 Sepc in close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QA가 발견한 이슈가 명세화된 요구사항 즉, spec에 있으므로 결함으로 여기지 않고 폐쇄한다는 말이다.

 

명세화된 spec안에 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이 글이나 문서화되어 기획서에 기록된다.

* spec in close = 기대 결과안에 포함, 해당 예외사항은 허용

 

spec in close에서 close는 BTS에 등록되는 이슈가 도달하는 최종단계 중 하나이다.

폐쇄된다는 의미인데 일단 이슈로 의심되면 QA는 BTS에 등록하고 이를 관리하게 된다. 즉, 이슈라고 의심되는 것 자체가 BTS에 등록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spec in close가 많다면 QA가 이슈로 의심한 것이 많은 의미이므로 Spec을 잘 이해하지 못했거나 spec에 잘 정리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1. BTS에 의심되는 이슈를 생성(상태는 open)
  2. 해당 이슈를 할당해 개발자 혹은 기획자에게 문의
  3. spec으로 분류했다면 어떤 것인지 문의
  4. 내용을 확인 후 spec이라면 해당이슈를 spec in close 한다.
  5. spec에 없다면 스펙으로 분류해 추가할지 이슈로 판단할지 결정해 사후 처리를 한다.

QA로서 자세는 spec에 없다는 것을 개발자 혹은 기획자에게 알려줘라는 것보다는 어떤 것을 추가로 확인해야 할지 그리고 유저가 해당 내용을 스펙으로 받아들일지 아닐지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QA는 항상 최고의 경험과 완성도를 위해 유저의 관점과 개발자, 기획자 관점 양쪽에서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사진은 리니지 2m에서 한 유저가 아인하사드의 은총이 왜 감소하는지 이상하다는 글을 올렸다. 해당 내용을 보면 아인하사드의 은총은 "모든 장비 및 아이템 획득 가능 / 50 레벨 이상부터 은총 소모량 감소" 

라는 내용을 보고 50 레벨 이상 부터 은총이 감소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50레벨 부터 소모되는 은총 량 자체가 감소한다는 의미로 50레벨 이하에서도 은총은 감소하게 되어있다.

 

한 QA가 해당 내용을 이슈라고 여겨 생성했음에도 단순히 spec이므로 폐쇄 처리한다면 이렇게 혼란을 겪는 유저들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IT > Game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 박스 테스트, 화이트 박스 테스트  (0) 2019.12.03
리스크 기반 테스팅  (0) 2019.12.03
Game QA 업무 과정  (0) 2019.12.03
Game QA에 대한 생각  (0) 2019.12.03
Game QA란?  (0) 2019.12.0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