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s rather than Memories

기획 의도의 허점을 파고드는 버그(LoL-탑 빙결 강타 잔나) 본문

IT/Game QA

기획 의도의 허점을 파고드는 버그(LoL-탑 빙결 강타 잔나)

Downer 2022. 2. 6. 08:16

기획 의도대로 돌아가겠지?

기획 의도(명세)대로 게임이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것은 게임QA로서 아주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때로 게임 내 각각의 시스템들은 기획 의도대로 동작하지만 그것들이 합쳐졌을 때 게임 목적성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LoL이라는 게임에서 이와 같이 기획 의도의 허점을 파고드는 형태의 플레이 방식이 있다는 글을 보게되어 글을 쓰게 되었다.

 

사실 LoL에서 일명 '뉴메타'라고 불리며 어느정도 승리 공식처럼 정형화된 플레이 비틀어 새로운 방식으로 챔피언(LoL내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보통 승률에 기반해 챔피언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아이템 선택, 룬 과 같은 최적화 빌드를 사용하게 된다. 즉, 라이엇이라는 회사가 챔피언을 구상할 때 "이런 식으로 사용했으면 한다"와 같은 기획의도가 있는 것이고 그것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다. 하지만 '뉴메타'라는 것은 오로지 승리라는 것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 그 자체에만 집중하는 것이다. 나는 종종 이런 새로운 방식의 플레이를 보며 어떻게 이런 걸 생각하지라면서 신기해하고 재밌어했다.

 

그 중 이번에 눈에 띈 것은 '탑+빙결 강화+강타+잔나'라는 뉴메타이다. 여러 뉴메타를 봐왔지만 잔나라는 챔피언으로 저 괴랄한 조합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어 상당히 놀랐다. 하지만 실제로 플레이가 가능하고 상당한 승률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아주 재밌었다.

 

기본적으로 이번 뉴메타가 가능한 이유는 현상금 시스템을 이용한 것인데 기존 마이-타릭, 누누-카서스 조합 등과 같이 게임을 극단적으로 단순화 시키고 승리를 손쉽게 가져갈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버그성이 있다고 생각이든다.(물론 이것을 전략으로 볼 것이냐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버그로 볼 것이냐에 대한 문제는 아주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게임QA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이 버그를 업무를 진행할 때 비슷했던 적이 있어 나름 분석글을 써보려고 마음먹었다.

 

 

현상금 시스템

그렇다면 LoL에서 현상금 시스템이란 무엇일까? 불리한 팀에게 역전의 기회를 주는 시스템으로 불리한 팀이 적 챔피언 을 처치하거나 목표물을 획득할 경우 현상금이라는 골드를 추가적으로 주는 것이다.

LoL에서 여러가지 유리함을 측정하는 지표들이 있지만 가장 영향도가 높다고 보는 것이 바로 골드이다.

 

앞서 말했듯이 현상금 시스템은 "불리한" 팀에게 역전의 기회를 주는 것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번 탑 잔나의 플레이는 이 현상금 시스템의 허점을 파고들어 불리한 팀이 아님에도 현상금 골드를 손에 넣을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레드팀과 블루팀에서 생성되는 미니언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한된 골드양에서 한 팀이 일방적으로 추가적으로 골드를 획득가능한 요소가 생긴다면 이것은 굉장히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잔나의 뉴메타가 현상금 시스템을 활용해 어떻게 가능한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최근 패치로 인해 현상금이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었습니다.

  1. 챔피언 처치 시 기본 골드: 데스가 많을 수록 적에게 주는 골드 하락
  2. 연속 킬 골드: 적이 킬을 많이 할수록 적 처치시 획득 골드 상승
  3. CS 골드: 상대 팀이 미니언 및 몬스터 처치로 번 골드를 4.3으로 나눈 평균값보다 내가 번게 많을 경우 생성. 추가로 골드량 차이가 100이 넘어가는 순간부터 50골드의 현상금이 생성 > 200이 넘어가는 순간부터 50골드씩 추가 생성
  4. 뒤처진 팀의 현상금 감소: 팀은 불리하지만 자신은 유리한 라인저을 펼칠때 보완장치

 

바로 3번 CS 골드에 대한 시스템을 극대화해 적 챔피언에게 현상금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CS 골드에 대한 내용은 미니언 및 몬스터 처치로 번 골드이기 때문에 포탑 방패 및 목표물 처치 현상금으로 획득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즉, 잔나는 CS를 먹지 않고 팀 적으로 캐리가 가능한 챔피언에게 도움을 주고 로밍을 통해 포탑 방패 및 목표물 처치 현상금을 획득합니다.

 

잔나의 뉴메타가 가능한 이유 3가지

위 그림과 같은 요소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대팀과 획득한 골드가 비슷한 상태가 만들어지게 되고 역으로 상대의 적 챔피언에게는 현상금이 걸려 불리한 팀이 아님에도 손쉽게 추가 골드를 획득한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됩니다.

 


현상금 시스템

게임 QA로서 현상금 시스템을 테스트한다면 각각의 기획의도 대로 시스템이 동작하는지 확인할 것이다. 당연하게도 기본적으로 각 시스템의 세부 항목이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확인 결과는 보다시피 각 항목은 기획의도대로 정상동작하고 있지만 불리한 팀에게 역전 기회를 제공한다는 최초 기획 의도에는 부합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버그가 발생하는 많은 부분은 유저들의 괴랄한 시도와 패치로 인한 변경점으로 인해 새로운 관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면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모든 게임이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단순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좀 더 게임 자체에 대한 깊은 고찰과 이해르 가져보려한다.

'IT > Game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onavirus concerns _ nothing happen  (0) 2020.03.30
게임 프로세스  (0) 2020.02.05
V model이란  (0) 2019.12.03
블랙 박스 테스트, 화이트 박스 테스트  (0) 2019.12.03
리스크 기반 테스팅  (0) 2019.12.03
Comments